맨위로가기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은 쿠바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에 1938년 한 차례 진출하여 8강에 올랐다. CONCACAF 골드컵에는 12번 출전하여 2003년, 2013년, 2015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으며, 카리브컵에서는 2012년 우승을 포함하여 11번의 대회에서 4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요 선수로는 예니에르 마르케스, 레스터 모레 등이 있으며, 역대 감독으로는 호세 타피아, 라울 곤잘레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축구 - 쿠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쿠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엘리자베스 커프 감독이 이끌며 CONCACAF W 챔피언십 2018년에 첫 본선 진출을 하였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 기록은 없고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84위이다.
  • 쿠바의 국가대표팀 - 쿠바 배구 국가대표팀
    쿠바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5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 북중미 카리브 지역의 강호로 자리 잡았으며, 1969년 북중미 선수권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14번의 대륙 선수권 우승을 기록하고,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린 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2022년 챌린저컵 우승으로 네이션스리그에 진출했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
엠블럼
별칭에스파냐어: Los Leones del Caribe (카리브의 사자들)
축구 협회쿠바 축구 협회
연맹CONCACAF (북아메리카)
하위 연맹CFU (카리브)
홈 경기장에스타디오 페드로 마르레로
FIFA 코드CUB
FIFA 최고 랭킹46위
FIFA 최고 랭킹 날짜2006년 11월 – 12월
FIFA 최저 랭킹182위
FIFA 최저 랭킹 날짜2017년 8월, 2018년 3월–5월
Elo 최고 랭킹52위
Elo 최고 랭킹 날짜2005년 2월
Elo 최저 랭킹147위
Elo 최저 랭킹 날짜2019년 9월
감독 및 주장
감독유니엘리스 카스티요
주장마이켈 레예스
선수 기록
최다 출장예니에르 마르케스 (126)
최다 득점레스테르 모레 (30)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pattern_la1: _jomadanubio1rn
pattern_b1: _jomadanubio1rn
pattern_ra1: _jomadanubio1rn
pattern_sh1: _redsides
leftarm1: FF0000
rightarm1: FF0000
body1: FF0000
shorts1: 181146
socks1: FF0000
원정 유니폼pattern_la2: _navyborder
pattern_b2: _cub23h
pattern_ra2: _navyborder
pattern_sh2: _navysides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경기 기록
첫 경기3–1 (아바나, 쿠바; 1930년 3월 16일)
최다 점수차 승리11–0 (아바나, 쿠바; 2018년 9월 8일)
최다 점수차 패배8–0 (앙티브, 프랑스; 1938년 6월 12일)
월드컵
출전 횟수1회
첫 출전1938년
최고 성적8강 (1938년)
CONCACAF 선수권 대회/골드컵
출전 횟수12회
첫 출전1971년
최고 성적4위 (1971년)
북미 네이션스컵
1947년 쿠바준우승
1949년 멕시코3위
카리브컵
2012년 앤티가 바부다우승 (팀)
1996년 트리니다드 토바고준우승
1999년 트리니다드 토바고준우승
2005년 바베이도스준우승
1995년 케이맨 제도 및 자메이카3위
2007년 트리니다드 토바고3위
2010년 마르티니크3위 (팀)

2. 역사

쿠바는 라틴아메리카 최고의 스포츠 강국으로 알려져 있으나,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인 축구에서는 북중미 축구 최약체 국가 중 하나이다. 쿠바는 스페인어권 국가나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달리 축구보다 야구가 더 인기가 많아 축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하다. 쿠바에도 유럽파 선수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하위 리그에서 뛰고 있으며, 일부 선수들은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등 아메리카 대륙의 상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쿠바는 1938년 FIFA 월드컵CONCACAF 국가들이 대거 기권하면서 자동 출전하여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하지만 카스트로 정권 이후 오랫동안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지 못하다가,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다시 참가했다.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최종 예선까지 진출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0년대 이후 쿠바는 2003 CONCACAF 골드컵 8강에 진출했고, 2012 카리브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2006 FIFA 월드컵 예선, 2010 FIFA 월드컵 예선, 2014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모두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 1. 초기 역사 (1930-1938)

1930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경기 대회에서 쿠바는 1930년 3월 16일에 첫 국제 축구 경기를 치렀다. 쿠바는 자메이카(당시 영국 식민지)를 하바나에서 3-1로 이겼고, 4일 후에는 온두라스를 7-0으로 크게 이겼다.[1] 호세 타피아가 감독을 맡았으며, 그는 1938년 FIFA 월드컵 쿠바 대표팀을 이끌었다.

쿠바의 첫 월드컵 예선은 1934년 FIFA 월드컵이었다. CONCACAF 참가국들은 모두 11조에 배치되었다. 쿠바는 아이티와의 3전 2선승제 경기에서 승리하여 멕시코와 다시 3전 2선승제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 경기에서 이긴 팀은 결승 진출을 위해 미국과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었다. 쿠바와 아이티 간의 모든 경기는 1934년 1월 28일, 2월 1일, 2월 4일에 아이티 포르토프랭스에서 열렸다. 쿠바는 첫 경기에서 3-1로 승리했고, 두 번째 경기는 1-1 무승부, 마지막 경기에서는 6-0으로 크게 이겼다.

멕시코와의 두 번째 라운드는 멕시코시티의 파르케 네칵사에서 3경기로 치러졌다. 1934년 3월 4일, 첫 경기에서 멕시코가 3-2로 승리했다. 일주일 후, 멕시코가 5-0으로 승리했고, 7일 후에는 멕시코가 4-1로 승리했다. 결국 멕시코는 미국과의 플레이오프에서 4-2로 패배하여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 2. 1938-2000

1938년 월드컵프랑스에서 개최되었는데, 이는 남아메리카에서 월드컵이 열리기를 희망했던 아메리카 대륙에서 좋지 않은 반응을 얻었다. 브라질과 쿠바를 제외한 모든 남아메리카 및 CONCACAF 국가들이 기권하여 두 팀이 부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했다.[1]

대회는 16개국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쿠바는 1938년 6월 5일 툴루즈의 스타드 뒤 T.O.E.C.에서 루마니아를 상대로 첫 월드컵 본선 경기를 치렀다. 경기 결과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3-3 무승부였다. 6월 9일에 열린 재경기에서는 쿠바가 2-1로 승리했다.[1] 8강전에서 쿠바는 6월 12일 앙티브의 스타드 뒤 포르 카레에서 스웨덴에게 8-0으로 크게 패했다.[1]

1949년 NAFC 선수권 대회는 1950년 월드컵CONCACAF 예선 역할을 했다. 쿠바, 미국, 멕시코가 참가한 이 대회에서 쿠바는 3위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쿠바는 카스트로 정권 하에서 1966년까지 월드컵 예선에 다시 참가하지 않았다.[1] 1978년 예선에 다시 참가했고, 1982년 예선에서는 최종 예선 라운드에 진출하여 본선 진출에 2점 부족한 성적을 거두었다.[1]

2. 3. 2000년대 이후

2003 CONCACAF 골드컵 8강에 진출했으며, 조별 예선에서 캐나다를 2-0으로 꺾었지만, 8강에서 미국에게 패했다. 2006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코스타리카와 맞붙었고,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했다. 쿠바는 아바나에서 코스타리카와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코스타리카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0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앤티가 바부다와 경기를 치렀고, 3-3 무승부로 끝났다. 이후 페드로 마레오에서 열린 경기에서 쿠바는 4-1로 승리하여 CONCACAF 월드컵 예선 준결승 라운드에 진출했다. 쿠바는 미국, 트리니다드 토바고, 과테말라와 한 조에 편성되었다. 쿠바는 과테말라를 상대로 알리아니스 우르겔레스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조 4위로 예선을 마감했다.

2010 카리브컵에서 3위를 차지하여 2011 CONCACAF 골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2년에는 쿠바가 카리브컵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14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쿠바는 상위 6개 팀 중 하나로 3라운드에 직행하여 온두라스, 파나마, 캐나다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쿠바 팀은 몇 차례 접전을 벌였지만, 캐나다와 온두라스에 홈과 원정에서 모두 패하고, 마지막 경기에서 아바나에서 파나마와 무승부를 기록한 후 파나마 시티에서 패배하여, 1무 5패로 예선 과정을 마쳤다. 예선에서 넣은 유일한 골은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알베르토 고메스가 파나마를 상대로 넣은 골이었다.

3. 쿠바 선수들의 망명 및 이중 국적

쿠바의 다른 스포츠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축구 선수들이 최근 몇 년 동안 미국으로 이주했다. 2002 골드컵에서 쿠바 선수 레이 앙헬 마르티네스와 알베르토 델가도는 미국에 남기로 결정했다. 스트라이커 마이켈 갈린도는 2005 골드컵 중에, 오스발도 알론소와 레스터 모레 두 선수는 2007 골드컵 중에 망명했다.

2008년에는 미국에서 열린 두 개의 토너먼트 동안 망명이 발생했다. 3월에는 예니엘 베르무데스, 요르다니 알바레스, 옌드리 디아스를 포함한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7명이 플로리다주 탬파에서 열린 2008 CONCACAF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중에 망명했다. 10월에는 미국과의 월드컵 예선 경기를 이틀 앞두고 레이니에르 알칸타라와 페드로 파이페가 워싱턴 D.C. 근처 팀 호텔을 떠났다.

2011 CONCACAF 골드컵에서 요스니엘 메사는 팀이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있는 동안 망명했다.[3] 2015 골드컵에서는 포워드 케일러 가르시아가 멕시코와의 첫 경기 전에 미국으로 망명했다.[4] 2019년 9월에는 5명의 선수(요르단 산타 크루스, 앤디 바케로, 다비드 우르겔레스, 오를렌디스 베니테스, 알레한드로 포르탈)가 2019-20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 캐나다와의 경기 전후로 캐나다로 망명했다.[5][6]

2023 CONCACAF 골드컵에서는 4명의 선수(로베르니 카바예로, 데닐손 밀라네스, 네이세르 산도, 하사엘 에레라)가 팀이 마지막 두 번의 조별 리그 경기를 위해 마이애미에서 휴스턴으로 이동하기 전에 망명했다.[7][8] 또 다른 선수 산디 산체스도 캐나다와의 마지막 조별 리그 경기 후 망명했으며,[9][10] 의료진 중 한 명도 뒤따랐다고 한다.[10]

4. 국제 대회 경력

쿠바는 FIFA 월드컵 본선에 한 번 출전하여 1938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했으나,[1] 이후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CONCACAF 골드컵에는 11번 출전하여 1971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2003년, 2013년, 2015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카리브컵에서는 11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96년, 1999년, 2005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14] 하계 올림픽 본선에는 2번 출전하여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 8강에 진출했다.[15][16][17][18][19][20][21]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11번 출전하여 1979년에 은메달, 1971년과 1991년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는 2019-20 시즌 리그 A에 편성되었으나 4전 전패로 리그 B로 강등되었다.[1] 2022-23 시즌 리그 B에서 5승 1패로 조 1위를 기록하며 리그 A로 승격했고, 2023년 CONCACAF 골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다.[1] 2023-24 시즌 리그 A에서는 1승 2무 1패로 조 4위를 기록했다.[1]

NAFC 챔피언십에서는 2번 출전하여 1947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1949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CCCF 선수권 대회에는 4번 출전하여 최고 성적은 5위이다. 중앙아메리카·카리브 경기 대회에는 21번 출전하여 금메달 5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대회최고 성적
FIFA 월드컵8강 (1938)
CONCACAF 골드컵4위 (1971)
카리브컵우승 (2012)
하계 올림픽8강 (1980)
팬아메리칸 게임은메달 (1979)
NAFC 챔피언십준우승 (1947)
CCCF 선수권 대회5위 (1960, 1961)
중앙아메리카·카리브 경기 대회금메달 (1930, 1970, 1974, 1978, 1986)


4. 1. FIFA 월드컵

쿠바는 1938년 FIFA 월드컵에 중미 국가로는 사상 처음으로 참가하여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 1라운드에서 루마니아와 3-3으로 비긴 후, 플레이오프에서 엑토르 소코로의 멀티골로 2-1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1] 그러나 8강에서 스웨덴에게 0-8로 대패하며 4강 진출에는 실패했다.[1] 이후 쿠바는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1]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불참
1934년예선 탈락
1938년8강831115124
1950년예선 탈락
1954년FIFA로부터 참가를 거절당함
1958년불참
1962년
1966년예선 탈락
1970년FIFA로부터 참가를 거절당함
1974년불참
1978년예선 탈락
1982년
1986년불참
1990년예선 탈락
1994년기권
1998년예선 탈락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합계1회 진출(1/21)8강(1회)3115124
순위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55위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득점실점승점
1930년불참
1934년621313147
1938년자동진출
1950년40133111
1954년참가를 거부당함
1958년불참
1962년
1966년4112354
1970년참가를 거부당함
1974년불참
1978년5221758
1982년943211815
1986년불참
1990년2011121
1994년기권
1998년10415171813
2002년82517311
2006년4220848
2010년830513219
2014년60151101
2018년2020112
합계682020288510280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1위 (북중미 12위)


4. 2. CONCACAF 골드컵

쿠바는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11번 출전하여 1971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3번(2003년 CONCACAF 골드컵, 2013년 CONCACAF 골드컵, 2015년 CONCACAF 골드컵)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2015년 대회에서는 8강 진출팀 중 최저 득점(1득점)과 최다 실점(14실점)을 기록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63년불참
1965년기권
1967년예선 탈락
1969년불참
1971년결선리그4위5122575
1973년불참
1977년예선 탈락
1981년결선리그5위5122485
1985년불참
1989년예선 탈락
1991년기권
1993년불참
1996년예선 탈락
1998년조별리그10위20022100
2000년예선 탈락
2002년조별리그11위2011011
2003년8강8위3102283
2005년조별리그12위3003390
2007년조별리그12위3012391
2009년예선 통과 후 기권
2011년조별리그12위30031160
2013년8강8위41036133
2015년8강8위41031143
2017년예선 탈락
2019년조별리그16위30030170
합계11회 진출(11/25)4강(4위 1회)3756262711221
순위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3위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63년불참
1965년기권
1967년4022572
1969년불참
1971년2110104
1973년불참
1977년5221758
1981년43107010
1985년불참
1989년2011121
1991년기권
1993년불참
1996년860224618
1998년751113216
2000년5221758
2002년1053213818
2003년660017518
2005년751111316
2007년1172231823
2009년843121615
2011년843112715
2013년851211416
2015년4121555
2017년2101243
2019년43011529
합계10560252020379205


4. 3. 카리브컵

쿠바는 라틴아메리카 최고의 스포츠 강국으로 알려져 있으나,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인 축구에서는 성적이 부진한 편에 속하는 북중미 축구 최약체 국가이다. 쿠바는 타 스페인어권 국가나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달리 축구보다는 야구가 더 인기를 모으고 있어 축구는 상대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14]

북중미 축구 최약체팀이긴 하지만 카리브컵에는 11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3번의 대회(1996년, 1999년, 2005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출전한 11번의 대회에서 모두 4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14]

카리브컵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89년불참
1990년
1991년기권
1992년4강4위5221428
1993년불참
1994년기권
1995년4강3위5302969
1996년준우승2위53117210
1997년불참
1998년예선 탈락
1999년준우승2위54019312
2001년4강4위5122575
2005년준우승2위3201526
2007년4강3위5212767
2008년4강4위5221748
2010년4강3위53115210
2012년우승1위54015212
2014년4강4위4121555
2017년예선 탈락
합계11회 진출(11/19)우승(1회)52271114684192


4. 4. 하계 올림픽

쿠바는 올림픽 본선에 2번 출전하여 1980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으나 이후 올림픽 본선 출전 기록은 없다.[15][16][17][18][19][20][21]

올림픽 기록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선수 명단
1976조별 리그11위201101선수 명단
19808강7위4202312선수 명단
합계6213313


4. 5. 팬아메리칸 게임

쿠바는 팬아메리칸 게임 본선에 11번 출전하여 1979년 은메달 1개, 1971년1991년동메달 2개를 획득하였다.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51년불참
1955년
1959년결선리그7위60064320
1963년불참
1967년조별리그7위3012351
1971년동메달3위85128316
1975년2라운드5위4121645
1979년은메달준우승5122765
1983년조별리그5위3030113
1987년조별리그8위3102343
1991년동메달3위5221858
1995년불참
1999년조별리그8위4103363
2003년조별리그6위3012241
2007년불참
2011년조별리그8위3012021
2015년진출 실패
합계11회 진출(11/17)은메달(1회)47111323457246


4. 6.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6위로 첫 시즌 리그 A에 편입된 뒤 미국, 캐나다와 A조에 편성되었으나 4전 전패·조 최하위에 머무르며 차기 시즌 리그 B 강등과 2021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1라운드 직행을 확정지었다.[1]

리그 B로 강등된 후 첫 시즌인 2022-23 시즌에서 바베이도스, 앤티가 바부다, 과들루프와 A조에 편성되어 6경기 5승 1패·조 1위로 1시즌만의 리그 A 승격과 함께 통산 12번째 골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1]

1시즌만에 리그 A로 복귀한 이후 아이티, 수리남, 온두라스, 자메이카, 그레나다와 함께 A조에 편성되어 1승 2무 1패·조 4위로 2023-24 시즌을 마감했다.[1]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기록
시즌디비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승격/강등비고
2019-20AA4004018리그 B 강등2021 예선 탈락
2022-23BA6501113리그 A 승격2023 출전 불가
2023-24AB4121142024 예선 탈락
2024-25AB4031462025 예선 탈락
합계186571631


4. 7.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쿠바는 라틴아메리카 최고의 스포츠 강국으로 알려져 있으나,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인 축구에서는 성적이 부진한 편에 속하는 북중미 축구 최약체 국가이다. 쿠바는 다른 스페인어권 국가나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달리 축구보다 야구가 더 인기가 많아 축구는 상대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중앙아메리카·카리브 경기 대회에는 21번 출전하여 금메달 5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면서 멕시코 다음으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북미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2번 출전하여 1947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NAFC 챔피언십 기록
연도결과경기득점실점
1947준우승210165
19493위4013311
합계준우승 1회6114916



CCCF 선수권 대회 기록
연도결과경기득점실점
1941불참
1943
1946
1948
1951
1953
19557위6105317
19575위4004111
19605위4103512
19615위400429
합계5위 4회1820161149


  • '''NAFC 챔피언십'''
  • * 준우승 (1): 1947
  • * 3위 (1): 1949
  • '''CFU 챔피언십'''/'''카리브컵'''
  • * '''우승 (1):''' 2012[14]
  • * 준우승 (3): 1996, 1999, 2005
  • * 3위 (3): 1995, 2007, 2010
  •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경기'''
  • * '''금메달 (1)''': 1930

5. 팀 이미지

쿠바 대표팀은 주로 흰색 유니폼을 홈 경기에 사용하며, 파란색 유니폼을 원정 경기에 사용한다.

5. 1. 유니폼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 공급 업체와 그 기간은 다음과 같다.

유니폼 공급 업체기간
호마2023년–현재


6. 선수

쿠바는 라틴아메리카 최고의 스포츠 강국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작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손꼽히는 축구에서는 성적이 부진한 편이다. 쿠바는 스페인어권 국가나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달리 축구보다 야구가 더 인기를 끌고 있어 축구는 상대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물론 쿠바에도 유럽파 선수들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하위 리그에서 뛰고 있으며, 쿠바의 다른 해외파 선수들은 그나마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등 같은 아메리카 대륙의 상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11]

2024년 11월 14일과 18일에 세인트키츠 네비스와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플레이-인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1]

''2024년 10월 14일 니카라과와의 경기 후의 출장 및 득점 기록이다.''

포지션이름출장득점클럽(국가)
GK라이코 아로사레나140라스베이거스 라이츠 (USA)
GK이스멜 모르가도20란초 산타나 (NIC)
GK유르디 호델린00컨설턴트 (CRC)
DF다리엘 모레혼410산타 아나 (CRC)
DF요셀 피에드라391산 카를로스 (CRC)
DF올란도 칼보90리몬 블랙 스타 (CRC)
DF카렐 페레스70알라후엘렌세 U23 (CRC)
DF알레한드로 델가도60무니시팔 할라파 (NCA)
DF엘비스 카사노바40컨설턴트 (CRC)
DF레안드로 메나20산티아고 데 쿠바 (CUB)
MF카렐 에스피노282코뮤니카시오네스 (GUA)
MF야스니엘 마토스282마르켄세 (GUA)
DF유니오르 페레스280말라카테코 (GUA)
MF로마리오 토레스90히카랄 (CRC)
MF레이 로드리게스70마사차파 (NCA)
MF디에고 카타수스30라티나 칼초 (ITA)
MF마이클 카메호10라 아바나 (CUB)
MF페드로 브라보00리몬 블랙 스타 (CRC)
FW마이켈 레예스5112마나과 (NCA)
FW루이스 파라델라359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ROM)
FW오넬 에르난데스103노리치 시티 (ENG)
FW레이델 산체스50로스 야노스 (ESP)
FW아니엘 카사노바21컨설턴트 (CRC)



지난 12개월 동안 쿠바 대표팀에 차출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이름출장득점클럽(국가)최근 차출
GK요를란 우르제예스00과르타나모 (CUB)v. 러시아, 2023년 11월 20일
GK넬슨 존스턴130지카랄 (CRC)v. 온두라스, 2023년 10월 15일
DF카바페252우니온 아다르베 (ESP)v. 니카라과, 2024년 10월 14일
DF마리오 페냐베르80란초 산타나 (NIC)v. 니카라과, 2024년 10월 14일
DF리카르도 폴로00라스 투나스 (CUB)v. 온두라스, 2024년 6월 6일
DF파비안 글루어10바덴 (SWI)v. 러시아, 2023년 11월 20일
DF호르헤 코랄레스451털사 (USA)v. 온두라스, 2023년 10월 15일
DF모데스토 멘데스140하트퍼드 애슬레틱 (USA)v. 온두라스, 2023년 10월 15일
MF다이론 레예스181인터 마이애미 II (USA)v. 니카라과, 2024년 10월 14일
MF마르코스 캄포스00홀구인 (CUB)v. 니카라과, 2024년 9월 10일
MF에두아르도 에르난데스110무니시팔 (GUA)v. 온두라스, 2024년 6월 6일
FW윌리안 포조-벤타234그로루드 IL (NOR)v. 니카라과, 2024년 10월 14일
FW다니엘 디아스170산 카를로스 (CRC)v. 니카라과, 2024년 10월 14일
FW다비드 페레스10라 아바나 (CUB)v. 니카라과, 2024년 9월 10일
FW크리스티안 발리엔테40홀구인 (CUB)v. 러시아, 2023년 11월 20일
FW알렉산데르 고메스00그란마 (CUB)v. 러시아, 2023년 11월 20일


  • '''INJ''': 부상으로 인해 선수단에서 제외됨.
  • '''PRE''': 예비 명단.
  • '''RET''': 국가대표팀에서 은퇴.
  • '''SUS''': 출장 정지 상태.
  • '''WD''': 부상이 아닌 다른 이유로 선수단에서 제외됨.


이 외에도 오스발도 알론소, 후안 알론소, 오넬 에르난데스, 후안 투냐스 등이 주요 선수로 꼽힌다.

6. 1. 최다 출전 선수

예니에르 마르케스는 126경기로 쿠바의 최다 출전 선수이다.


순위선수출장연도
1예니에르 마르케스126162000–2015
2오델린 몰리나12301996–2013
3하이메 콜로메82122002–2013
4알렉산데르 크루사타7421996–2005
5라사로 다르코르73211995–2003
6알랭 세르반테스6882003–2016
7실비오 페드로 미뇨소6602002–2008
8레이산데르 페르난데스6532003–2012
9레스터 모레62301995–2007
10마누엘 보바디야57111995–2001

[12]

6. 2. 최다 득점 선수

[12]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쿠바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레스터 모레는 30골로 쿠바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순위선수출장비율경력
1레스터 모레30620.481995–2007
2라사로 다르코르21730.291995–2003
3로베르토 리나레스16420.382008–2012
예니에르 마르케스161260.122000–2015
5에두아르도 세브랑고13230.571996–1998
6세르게이 프라도12300.41999–2005
마이켈 갈린도12330.362002–2005
오스민 에르난데스12460.261995–2004
마이켈 레예스12510.242012–현재
하이메 콜로메12820.152002–2013


6. 3. 주요 선수

쿠바는 라틴아메리카 최고의 스포츠 강국으로 알려져 있으나,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인 축구에서는 성적이 부진한 편이다. 쿠바는 스페인어권 국가나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달리 축구보다 야구가 더 인기가 많아 축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하다. 쿠바에도 유럽파 선수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하위 리그에서 뛰고 있으며, 일부 선수들은 아메리카 대륙의 상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2024년 11월 14일과 18일에 세인트키츠 네비스와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플레이-인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1]

''2024년 10월 14일 니카라과와의 경기 후의 출장 및 득점 기록이다.''

포지션이름출장득점클럽(국가)
GK라이코 아로사레나140라스베이거스 라이츠 (USA)
GK이스멜 모르가도20란초 산타나 (NIC)
GK유르디 호델린00컨설턴트 (CRC)
DF다리엘 모레혼410산타 아나 (CRC)
DF요셀 피에드라391산 카를로스 (CRC)
DF올란도 칼보90리몬 블랙 스타 (CRC)
DF카렐 페레스70알라후엘렌세 U23 (CRC)
DF알레한드로 델가도60무니시팔 할라파 (NCA)
DF엘비스 카사노바40컨설턴트 (CRC)
DF레안드로 메나20산티아고 데 쿠바 (CUB)
MF카렐 에스피노282코뮤니카시오네스 (GUA)
MF야스니엘 마토스282마르켄세 (GUA)
DF유니오르 페레스280말라카테코 (GUA)
MF로마리오 토레스90히카랄 (CRC)
MF레이 로드리게스70마사차파 (NCA)
MF디에고 카타수스30라티나 칼초 (ITA)
MF마이클 카메호10라 아바나 (CUB)
MF페드로 브라보00리몬 블랙 스타 (CRC)
FW마이켈 레예스5112마나과 (NCA)
FW루이스 파라델라359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ROM)
FW오넬 에르난데스103노리치 시티 (ENG)
FW레이델 산체스50로스 야노스 (ESP)
FW아니엘 카사노바21컨설턴트 (CRC)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주요 선수들이 있다.


  • 오스발도 알론소
  • 후안 알론소
  • 오넬 에르난데스
  • 후안 투냐스
  • 야스마니 로페스
  • 안디 바케로
  • 다니엘 루이스 사에즈
  • 디오스벨리스 게라
  • 아리칠 에르난데스

7. 감독

재임 기간이름
1930–1934호세 타피아|호세 타피아es
1934–1935개빈 뉴턴|개빈 뉴턴영어
1935–1938호세 타피아|호세 타피아es
1947–1949마르셀리노 민살|마르셀리노 민살es
1963–1964프란티셰크 추르다|프란티셰크 추르다cs
1966카롤리 코사|카롤리 코사hu
1967라슬로 모하지|라슬로 모하지hu
1970–1971김용하
1976세르히오 파드론|세르히오 파드론es
1980–1981티보르 이바니치|티보르 이바니치hu
1985–1988로베르토 에르난데스
1990–1996조반니 캄파리|조반니 캄파리it
1996–2000윌리엄 베넷|윌리엄 베넷es
2000–2004미겔 콤파니|미겔 콤파니es
2004–2005루이스 아르멜리오 가르시아|루이스 아르멜리오 가르시아es
2006–2007라울 곤잘레스
2008라인홀트 판츠|라인홀트 판츠de
2008–2012라울 곤잘레스
2012챈들러 곤잘레스|챈들러 곤잘레스es
2012–2015발터 베니테스
2015–2016라울 곤잘레스
2016훌리오 발레로|훌리오 발레로es
2016–2019라울 메데로스|라울 메데로스es
2019–2023파블로 엘리에르 산체스|파블로 엘리에르 산체스es
2023–현재유니엘리스 카스티요|유니엘리스 카스티요es


참조

[1] 웹사이트 Cuba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Rsssf.com 2012-07-08
[2] 웹사이트 Baseball in Their Veins, but a New Ball at Their Feet https://www.nytimes.[...] 2012-07-08
[3] 뉴스 Cuba's Yosniel Mesa defects https://www.espn.com[...] ESPN 2011-06-13
[4] 뉴스 Keilen García, el premio-castigo de la libertad http://www.espn.com.[...] ESPN Deportes 2015-07-09
[5] 웹사이트 Tres cubanos más escapan en torneo de CONCACAF y ya suman cinco los que abandonan el equipo https://www.elnuevoh[...] 2019-09-08
[6] 웹사이트 Report: Five Cuba national team players defect during Nations League https://www.mlssocce[...] 2019-09-09
[7] 뉴스 Cuatro futbolistas de la selección de Cuba escaparon tras el primer partido de la Copa Oro en Miami https://www.infobae.[...] 2023-06-29
[8] 웹사이트 Reportes: Cuatro futbolistas abandonaron la concentración de Cuba en Miami durante la Copa Oro https://espndeportes[...] 2023-06-28
[9] 웹사이트 Cinque giocatori cubani hanno abbandonato la Nazionale durante la Gold Cup, e ora sono irreperibili https://www.rivistau[...] 2023-07-07
[10] 웹사이트 Sandy Sánchez, portero de Cuba y Pantoja, desertó después de Copa Oro https://espndeportes[...] 2023-07-05
[11] 웹사이트 Final Squad https://www.instagra[...] Cuban Football Association
[12] 웹사이트 Cub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23-02-02
[1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IFA World Cup Preliminary Competition (by year) http://es.fifa.com/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1-12-13
[14] 웹사이트 Cuba 1 Trinidad & Tobago 0 https://int.soccerwa[...] 2012-12-16
[15]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6]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7]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8]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9]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0]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1]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